스마트폰은 무선 통신을 위해 전자파를 사용합니다. 전자파는 전기적인 에너지가 진동하여 공간을 통해 전파되는 형태의 에너지입니다. 스마트폰은 주로 무선 통신을 위해 라디오파, 마이크로파, 인프라레드 등의 전자파를 사용합니다.
스마트폰의 전자파는 주로 주파수와 전력으로 특징지어집니다. 주파수는 전자파의 진동 수를 나타내며, 스마트폰에서 사용되는 주파수는 일반적으로 라디오파 또는 마이크로파 범위에 해당합니다. 이러한 전자파는 무선 통신을 위해 기지국과 스마트폰 간에 정보를 주고받는데 사용됩니다.
전자파는 일부 사람들에게 민감할 수 있으며, 이를 전자기 과민성 증후군(Electromagnetic Hypersensitivity Syndrome, EHS)이라고 합니다. 그러나 현재까지 과학적 연구는 스마트폰의 전자파가 인체에 유해하다는 강력한 증거를 제시하지 않고 있습니다. 여전히 이에 대한 연구는 진행 중이며, 국제 보건기구(WHO)와 같은 기관들은 스마트폰 사용 시 안전한 사용 지침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스마트폰 사용 시 전자파 노출을 최소화하기 위해 일부 사용자는 이어폰을 사용하거나, 통화 시 스피커폰을 사용하는 등의 조치를 취하기도 합니다. 또한, 스마트폰 제조업체들도 전자파 노출을 줄이기 위한 기술 개발과 안전성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전자파, 불빛등으로 인하여 우리의 눈은 피로와 지력저하를 격고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스마트폰 눈 건강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스마트폰 눈건강법
미국 퍼시픽대학교 피터 쉬디 교수는 "미국에서는 업무와 관련된 안과질환으로 매년 수십억 원의 노동생산비가 낭비되고 있다"며 "대부분의 눈 손상은 건설이나 제조업 분야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최근 전자기기에 의한 눈 건강이 심각하게 위협받고 있다"고 말했다.
스마트폰 등으로 인해 현대인들의 눈은 흔들리는 차안이나 따가운 햇살이 비치는 야외에서도 혹사당하고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눈의 피로, 시력저하, 두통, 눈이 뻑뻑하고 따가운 증상이 나타난다.
컴퓨터 모니터나 스마트폰 화면을 집중해서 보다 보면 보통 1분에 20~30번 정도하는 눈 깜박임의 횟수가 40프로 정도 줄어들기 때문에 눈과 관련된 여러 증상들이 발생한다.
이와 관련해 미국 퍼시픽대학과 미국안과의사협회가 디지털시대에 현대인들이 눈 건강을 챙길 수 있는 팁 5가지를 소개했다.
20분 모니터를 본 뒤 20초는 휴식시간을 갖고 6~7m 먼 곳을 바라봐야 한다.
이동식 기기들의 모니터 글자 크기를 키워 눈이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멀찍이 보아야 한다.
너무 밝지도 어둡지도 않게 모니터 화면 밝기를 조절해야 한다.
스마트폰이나 이동식 기기 화면을 이동 중에 볼 때 머리 바로 뒤나 앞에서 빛이 직접적으로 비치면 눈이 부시다. 빛이 직접적으로 눈에 쬐지 않도록 빛의 방향을 신경 쓰도록 한다.
컴퓨터나 이동식 기기 모니터가 눈높이보다 약간 아래 있어야 내용물에 집중하기 쉽다.
출처 -미국안과의사협회-
'좋은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 신호 무시하면 한달후 심장마비가 올수도 있다 (0) | 2023.07.06 |
---|---|
관절건강에 좋은 호랑의 콩의 다양한 효능 (0) | 2023.07.06 |
뼈 건강에 좋은 칼슘이 풍부한 음식 10가지 (0) | 2023.07.05 |
혈관청소부 양파 제대로 알고 먹자 (0) | 2023.07.05 |
대장암 걱정 없애주는 생활습관들 (0) | 2023.07.04 |
댓글